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1920년 운행을 시작하여, 현재 급행, 순환, 간선, 지선으로 구분되는 노선 체계를 갖추고 있다. 2006년 준공영제와 환승 무료·할인제를 시행하였으며, 2009년 경산시, 2019년 영천시와도 환승 체계를 구축했다. 현재는 단일 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교통카드 사용 시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대구 시내버스는 여러 운송 업체가 운영하며,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러시아워에는 버스전용차로제를 시행하고 있으며, 대구 최초의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운영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 |
---|---|
지역별 버스 교통 정보 | |
지역 | 대구광역시 |
구분 | 시내버스 |
관리 기관 | 대구광역시청 교통국 버스운영과 |
서비스 지역 | 대구광역시 |
기타 지역 | 대구광역시 경상북도 구미시 고령군 경산시 영천시 칠곡군 경상남도 창녕군 |
노선 수 | 113개 (주말 노선 포함) |
인가 대수 | 1,520대 (예비 차량 포함) |
지불 수단 | 현금, 교통카드 |
선불 카드 | 캐시비 탑패스 티머니 한페이 레일플러스 |
후불 카드 | 국민 BC 농협 신한 삼성 롯데 현대 하나 씨티 |
사이트 | 대구광역시 버스노선안내시스템 |
2. 역사
1920년 7월 1일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시내버스가 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을 시작했으며, 시내 각 방향은 물론 팔달교 및 동촌까지 운행하였다.[1]
1982년 9월 10일 대구직할시(현 대구광역시) 승격을 기념하여 여러 버스 회사에서 시민자율버스를 운행하였다. 1987년 12월에는 광진교통이 인수 폐업되었다.[2]
1990년, 대구직할시는 개별 노선 전담제를 폐지하고 공동 배차제를 도입하였다.[3] 이후 여러 버스 회사의 이름 변경, 인수, 합병이 있었다. 1998년에는 노선 번호 체계가 출발지, 경유지, 종점을 나타내는 세 자리 숫자로 변경되었다.[5]
2000년대 초반에도 버스 회사 간의 인수, 합병, 사명 변경이 활발했다. 2004년, 기존 공동배차제가 8개 권역별 조별 공동배차제로 변경되었으나, 같은 해 시내버스 파업이 발생했다.[7][8]
2005년, 초저상버스 운행이 시작되었고, 2006년에는 준공영제와 환승 무료·할인제가 시행되면서 큰 변화가 있었다. 노선 체계가 개편되고, 시내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이 구축되어 버스 도착 안내기가 설치되기 시작했다.[10][11]
2008년, 토큰할인제가 폐지되고, 장애인용 시내버스 노선안내 웹사이트가 구축되었다.[12] 2009년에는 경산시와의 시내버스 환승 시스템이 연계되었다.[11] 2010년대에는 여러 버스 회사의 합병, 교통카드 시스템 변화, 친환경 버스 도입 등 다양한 변화가 있었다.
2015년,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대대적인 노선 개편이 있었고, 이후에도 시민 편의를 위한 노선 조정이 계속되었다. 2019년에는 영천시와의 무료 환승제가 시행되었다.[15]
최근에는 수소연료전지버스 운행이 시작되었고, 2024년에는 현금 없는 시내버스 시범사업과 인근 지역과의 광역환승제 시행이 예정되어 있다.[16][17]
2. 1. 해방 이후 ~ 1980년대
1920년 7월 1일 대한민국 처음으로 시내버스가 대구역을 기점으로 운행을 시작하여, 시내 각 방향은 물론 팔달교 및 동촌까지 운행하였다.[1]1982년 9월 10일 대구직할시 승격을 기념하여 국일여객, 신일여객, 관음교통, 극동버스, 동광버스, 대현교통, 영진버스에서 시민자율버스를 시행하였다.
1987년 12월에는 광진교통이 인수 폐업되었다.[2]
2. 2. 1990년대 ~ 2000년대 초
1990년에 대구직할시(현 대구광역시)는 개별 노선 전담제를 폐지하고, 대구직할시 전역을 대상으로 버스 회사들이 노선을 함께 운영하는 공동 배차제를 시행하였다.[3] 같은 해 9월에는 건진교통이 동신여객자동차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다. 1997년부터 2001년 사이에는 한영교통이 세림교통으로, 다시 성보교통으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다.[4]1998년 5월 5일에는 노선 번호 체계가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단순히 숫자로만 노선을 구분했지만, 이때부터는 출발지, 경유지, 종점을 나타내는 세 자리 숫자를 사용하게 되었다.[5]
2003년에는 건영교통(구.대경교통)이 창성여객으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다.[6] 2003년에서 2004년 사이에는 일신교통이 상기운수를 거쳐 부민교통으로, 다시 영진교통으로 회사 이름을 변경하였다.[7] 같은 기간 극동버스는 유원버스로 이름을 바꾸었다가 다시 극동버스로 환원하였고, 2004년에 성보교통에 인수되어 우성교통으로 변경되었다.[8]
2. 3. 2000년대 중반 ~ 현재
2000년대 중반은 대구광역시 시내버스 체계에 큰 변화가 있던 시기였다. 2004년 1월, 대구광역시는 기존의 공동배차제를 8개 권역별 조별 공동배차제로 변경하여 시행하였다.[7] 그러나 같은 해 5월 25일부터 6월 2일까지 시내버스 파업이 발생하였다.[8]2005년 3월에는 초저상버스 운행이 시작되었고,[9] 2006년 2월 19일에는 2004년 시내버스 파업 당시 노·사·정·시의회의 합의에 따라 준공영제와 환승 무료·할인제가 시행되었다. 이와 함께 공동배차제가 폐지되고 개별노선전담제로 변경되었으며, 노선 체계는 기존의 좌석·일반·마을버스 구분에서 급행·순환·간선·지선으로 개편되었다. 좌석승차권은 폐지되었다.[11]
2006년 8월에는 시내버스운행관리시스템(BMS)이 구축되어 각 버스정류장에 LED 도착 안내기가 설치되기 시작했다.[10] 같은 해 10월 28일에는 경산시 시내버스와 공동 배차하는 경산버스, 대화교통의 일부 노선에 환승 무료·할인제가 추가로 적용되었다.[11]
2007년에는 대구시내버스 파업이 다시 발생하기도 했다. 2008년 7월 1일에는 토큰할인제가 폐지되었고,[12] 11월 18일에는 대한민국 최초로 장애인용 시내버스 노선안내 웹사이트가 구축되었다.[12]
2009년 1월 17일에는 경산시의 시내버스와 상호 환승 무료·할인제, 시내버스 운행관리시스템이 적용되었다.[11] 2010년에는 여러 버스 회사의 합병이 이루어졌다. 3월 29일에는 동신여객자동차와 우주교통이,[13] 4월 28일에는 창성여객과 현대교통이, 10월 16일에는 우성교통과 성보교통이 합병되었다.
2011년 1월 1일, 탑패스가 신설되고 뒷문에도 교통카드 단말기가 설치되면서 환승 무료·할인제가 변경되었다. 환승 무료·할인 가능 시간은 최초 승차 후 60분에서 최초 하차 후 30분으로 변경되어 도시철도와 기준이 통일되었다.
2013년에는 후불 교통카드인 NH농협카드가 개통되었고, 현대교통의 디젤차량 2대가 천연가스버스로 교체되면서 전 차량이 천연가스버스로 운행하게 되었다. 2014년에는 대구광역시 최초로 저상버스가 신차로 교체되었고,[14] 삼성, 롯데, 현대, 하나, 외환 후불카드가 개통되었다.
2015년 8월 1일에는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으로 인해 대대적인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다. 2016년에는 코코몽 캐릭터 래핑버스가 일부 노선에서 운영되었고, 시민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일부 노선이 개편되었다. 2017년 1월 21일에도 추가적인 노선 개편이 이루어졌으며, 8월 2일에는 동대구로에 대구 최초의 중앙버스전용차로가 개통했다.
2019년 3월 25일에는 신흥버스와 동명교통에 전기버스 각 5대가 시범 도입되어 운행을 시작했다. 같은 해 8월 20일에는 영천시의 시내버스와 무료환승제가 정식 시행되었고, 영천시의 시계외요금이 폐지되었다.[15] 2021년 11월 2일에는 수소연료전지버스 운행이 시작되었다.
2024년 7월 1일에는 현금 없는 시내버스 시범사업이 시작될 예정이며,[16] 12월 14일에는 대경선 개통과 함께 청도, 고령, 성주, 칠곡, 김천, 구미 지역과의 광역환승제가 시행될 예정이다.[17]
3. 노선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급행, 순환, 간선, 지선 노선 체계로 운영된다. 각 노선은 번호로 구분되며, 일부 노선은 특정 지역을 순환하거나 인접 시·군을 연결하기도 한다.
- 급행(Rapid): "급행" + 일련번호 (예: 급행1, 급행2)
- 순환(Circle): "순환" + 순환선 번호 (예: 순환2, 순환2-1)
- 간선(Main): 기점번호 + 경유지번호 + 종점번호
- 지선(Branch): 생활권명 + 일련번호 (생활권: 서구, 남구, 동구, 팔공, 북구, 수성, 가창, 달서, 성서, 달성, 칠곡)
노선 번호에 '-1'이 붙는 노선은 한 쌍의 노선이 반대 방향으로 순환 운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1'이 없으면 시계방향, '-1'이 붙으면 반시계방향으로 운행한다. 156번, 204번, 234번, 240번, 309번, 403번, 410번, 650번, 651번, 724번, 808번, 849번, 909번, 939번, 동구8번, 동구9번, 북구2번, 북구3번, 북구4번, 수성3번 등 일부 노선은 권역 구분도를 따르지 않는다.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에서 상세 노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대구광역시 버스운행정보 웹사이트에서 지도와 함께 노선 안내, 최단 경로 검색, 버스 위치 정보 등을 조회할 수 있다. 버스 이용 전에는 반드시 노선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3. 1. 번호 체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번호는 급행, 순환, 간선, 지선 체계로 구분된다.- 급행(Rapid): "급행" + 일련번호
- 순환(Circle): "순환" + 순환선 번호
- 간선(Main): 기점번호 + 경유지번호 + 종점번호
번호 | 권역 |
---|---|
0 | 중구, 남구 |
1 | 동구(대구부산고속도로 이서 지역) |
2 | 서구, 북구 금호지구 |
3 | 북구(칠곡지구 제외) |
4 | 수성구(범안로 이서 지역), 달성군 가창면(남산 동쪽) |
5 | 달서구(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이서 지역)와 달성군 다사읍 |
6 | 달서구(중부내륙고속도로 이남 지역), 달성군 나머지 지역(남산 서쪽) |
7 | 북구(칠곡지구)와 칠곡군 동명면, 가산면, 구미시 장천면, 산동읍 |
8 | 동구(대구부산고속도로 이동 지역), 경산시(경부고속도로 이북 지역)와 영천시 금호읍 |
9 | 수성구(범안로 동쪽) , 경산시(경부고속도로 이남 지역) |
10 | 군위군 |
- 지선(Branch): 생활권명 + 일련번호 (생활권: 서구, 남구, 동구, 팔공, 북구, 수성, 가창, 달서, 성서, 달성, 칠곡)
노선 번호에 ‘-1’이 붙는 노선은 한 쌍의 노선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순환 운행한다. ‘-1’이 없으면 시계방향으로, ‘-1’이 붙으면 반시계방향으로 순환한다. 156번, 204번, 234번, 240번, 309번, 403번, 410번, 650번, 651번, 724번, 808번, 849번, 909번, 939번, 동구8번, 동구9번, 북구2번, 북구3번, 북구4번, 수성3번과 같이 권역 구분도를 따르지 않는 노선도 있다.
3. 2. 노선 목록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목록에서 상세한 노선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http://businfo.daegu.go.kr/ 대구광역시 버스운행정보] 웹사이트에서는 지도와 함께 노선 안내, 출발지와 목적지 간 최단 거리 및 최단 시간 노선 검색, 노선별 현재 버스 위치, 저상버스 위치를 조회할 수 있다. 버스 정류장 안내판과 버스 내부 노선도에는 주요 경유지만 표시되어 있으므로, 이용 전에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구분 | 노선 |
---|---|
급행 | 급행1, 급행2, 급행3, 급행4, 급행5, 급행6, 급행7, 급행8, 급행8-1, 급행9, 급행9-1 |
순환 | 순환2, 순환2-1, 순환3, 순환3-1 |
간선 | 101, 101-1, 156, 204, 234, 240, 300, 304, 306, 309, 323, 323-1, 349, 356, 401, 403, 405, 410, 410-1, 413, 425, 449, 503, 509, 518, 518-1, 523, 524, 527, 564, 600, 609, 618, 623, 649, 650, 651, 653, 655, 706, 708, 719, 724, 726, 730, 750, 805, 808, 814, 818, 836, 840, 849, 849-1, 909, 937, 939, 980 |
지선 | 가창2, 군위1, 군위2, 군위3, 군위4, 군위5, 군위6, 군위7, 군위8, 군위9, 군위 10, 군위11, 남구1, 남구1-1, 달서1, 달서3, 달서4, 달서4-1, 달서5, 달성1, 달성2, 달성3, 달성5, 달성6, 달성7, 동구1, 동구1-1, 동구2, 동구3, 동구4, 동구4-1, 동구5, 동구6, 동구7, 동구8, 동구9, 북구1, 북구2, 북구3, 북구4, 서구1, 서구1-1, 성서1, 성서1-1, 성서2, 성서3, 수성1, 수성1-1, 수성2, 수성3, 수성3-1, 수성4, 칠곡1, 칠곡1-1, 칠곡2, 칠곡3, 칠곡4, 칠곡5, 칠곡6, 팔공1, 팔공2, 팔공3, 비슬1 |
시티투어 | 대구시티투어버스 |
3. 3. 인접 시·군 노선
지역 | 노선 |
---|---|
경산 | 100 · 100-1 · 399 · 818 · 990 · 991 · 814• · 939• · 708• · 840 |
영천 | 55 · 555 |
청도 | 0(청도) · 0-1 |
칠곡 · 성주 | 0(성주) · 27 · 38 · 50 · 200 · 250 · 250-1 · 300 |
고령 | 606 |
- 점(•) 표시는 대구광역시와 공동 배차하는 노선이다.
4. 운임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거리비례제가 아닌 단일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구광역시와 상호 환승 무료·할인 제도를 적용하는 경산시, 칠곡군, 영천시로 가는 노선에는 시계외요금이 없다. 2023년 7월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군위교통의 의성(탑리) 방면 노선도 시계외요금이 폐지되었다.[18] 요금은 교통카드나 현금으로 낼 수 있다.
2006년 10월 28일부터 통합요금제가 시행되어 현재 요금 체계가 유지되고 있다. 2009년 1월 17일부터 경산시의 시내버스도 이 환승 체계에 포함되었으며, 2019년 8월 20일부터는 영천시의 시내버스와 환승 시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18] 이에 따라 대구를 오가는 영천 시내버스 노선(55번, 555번)의 차액 지불 방식 시계외요금[19]이 폐지되었고, 하양-와촌1번의 영천 구간 시계외요금도 통합되어 완전히 폐지되었다.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
- 선불식: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이즐, 티머니, 한페이, 레일플러스
- 후불식: 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하나카드, 씨티카드[20]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급행 (좌석형) | 성인 (만 19세 이상) | 1950KRW | 2200KRW | 순환 간선 지선 (도시형) | 성인 (만 19세 이상) | 1500KRW | 1700KRW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100KRW | 1300KRW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850KRW | 1000KRW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650KRW | 800KRW | 어린이 (만 7세 ~ 12세) | 400KRW | 500KRW |
- 만 7세 미만 어린이 1명은 무료 승차가 가능하며, 1명을 초과하는 경우 각 1명마다 어린이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 초기에는 일반버스와 급행·좌석버스 요금이 구분되었으나, 2006년 10월 28일 통합요금제 시행으로 급행버스 노선에만 좌석버스 요금을 받고, 나머지는 일반버스 요금으로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좌석버스가 운행되던 간선 노선은 일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청소년·어린이 요금은 신분이 아닌 나이로 적용된다.
-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요금 할인과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 2016년 12월 30일, 2024년 1월 13일 두 차례에 걸쳐 인건비 및 유가 상승으로 인해 버스 운임이 인상되었다.
4. 1. 요금 체계
대구광역시의 시내버스는 거리비례제가 아닌 단일요금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대구광역시와 상호 환승 무료·할인 제도를 적용하는 경산시, 칠곡군, 영천시로 가는 노선에는 시계외요금이 없다. 2023년 7월 군위군이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군위교통의 의성(탑리) 방면 노선도 시계외요금이 폐지되었다.[18] 요금은 교통카드나 현금으로 낼 수 있다.2006년 10월 28일부터 통합요금제가 시행되어 현재 요금 체계가 유지되고 있다. 2009년 1월 17일부터 경산시의 시내버스도 이 환승 체계에 포함되었으며, 2019년 8월 20일부터는 영천시의 시내버스와 환승 시 환승 할인이 적용된다.[18] 이에 따라 대구를 오가는 영천 시내버스 노선(55번, 555번)의 차액 지불 방식 시계외요금[19]이 폐지되었고, 하양-와촌1번의 영천 구간 시계외요금도 통합되어 완전히 폐지되었다.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
- 선불식: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이즐, 티머니, 한페이, 레일플러스
- 후불식: 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하나카드, 씨티카드[20]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급행 (좌석형) | 성인 (만 19세 이상) | 1,950 | 2,200 | 순환 간선 지선 (도시형) | 성인 (만 19세 이상) | 1,500 | 1,70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100 | 1,300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850 | 1,000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650 | 800 | 어린이 (만 7세 ~ 12세) | 400 | 500 |
- 만 7세 미만 어린이 1명은 무료 승차가 가능하며, 1명을 초과하는 경우 각 1명마다 어린이 요금을 지불해야 한다.
- 초기에는 일반버스와 급행·좌석버스 요금이 구분되었으나, 2006년 10월 28일 통합요금제 시행으로 급행버스 노선에만 좌석버스 요금을 받고, 나머지는 일반버스 요금으로 통합되었다. 이에 따라 좌석버스가 운행되던 간선 노선은 일반 노선으로 변경되었다.
- 청소년·어린이 요금은 신분이 아닌 나이로 적용된다.
- 교통카드를 이용하면 요금 할인과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 2016년 12월 30일, 2024년 1월 13일 두 차례에 걸쳐 인건비 및 유가 상승으로 인해 버스 운임이 인상되었다.
4. 2. 요금
거리비례식 요금이 아닌 단일요금제이며, 대구광역시나 상호 환승무료·할인 제도를 적용하는 경산시, 칠곡군, 영천시로 가는 노선들의 시계외요금 또한 없다. 대구광역시의 노선 중 1일 3회 고령군 다산면 및 성산면 안쪽으로 넘어가는 달성1번 역시 시계외요금을 받지 않는다. 2023년 7월에 군위군이 대구광역시로 편입된 후에는 군위교통의 의성(탑리) 방면 노선 역시 시계외요금이 폐지됐다.[18] 요금은 교통카드 또는 현금으로 운임을 지불한다.2006년 10월 28일부터 통합요금제로 전환하여 시행 중이며, 2009년 1월 17일부터는 경산시의 시내버스도 이 환승 체계에 포함되었다. 2019년 8월 20일부터 영천시의 시내버스로 환승 시 환승할인이 적용된다.[18] 이에 따라 대구를 오가는 영천 시내버스 노선(55번, 555번)의 차액지불 방식 시계외요금[19]과 경산 노선인 하양-와촌1번의 영천구간 시계외요금이 이 체계에 통합되어 완전히 폐지됐다.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
- 선불식: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이즐, 티머니, 한페이, 레일플러스
- 후불식: KB국민카드, 비씨카드, NH농협카드, 신한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하나카드, 씨티카드[20]
종류 | 나이 | 카드 (원) | 현금 (원) |
---|---|---|---|
급행 (좌석형) | 성인 (만 19세 이상) | 1950KRW | 2200KRW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100KRW | 1300KRW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650KRW | 800KRW | |
순환 간선 지선 (도시형) | 성인 (만 19세 이상) | 1500KRW | 1700KRW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850KRW | 1000KRW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400KRW | 500KRW |
- 만 7세 미만의 아이 1명은 무료로 승차할 수 있으며, 1명 초과시 각 1명마다 어린이 요금을 내야 한다.
- 개편 초기에는 일반버스와 급행·좌석버스 요금을 따로 구분했으나, 2006년 10월 28일에 통합요금제가 시행되면서 급행버스 노선에만 좌석버스 요금을 받고 급행을 제외한 나머지 일반과 좌석노선은 일반버스 요금으로 통합되어 원래 좌석버스가 들어갔던 간선 노선들은 통합요금제에 따라 자동으로 좌석에서 일반 노선으로 형간 전환됐다. 따라서 706번이나 719번 같이 상대적으로 수요가 많은 노선에는 좌석차량 대신 일반 도시형버스가 투입되고, 일부 수요가 적은 노선에는 노후된 좌석버스 차량들이 차령이 만료될 때까지 투입됐다.
- 타 지역과 마찬가지로 청소년·어린이 요금은 초등학생·중학생과 같은 신분이 아닌, 나이로 적용된다.
- 교통 카드를 이용하면 운임을 할인받을 수 있으며,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 2016년 12월 30일과 2024년 1월 13일에 인건비 및 유가 상승으로 인하여 버스 운임을 인상하였다.
4. 3. 사용 가능 교통카드
사용 가능한 교통카드는 다음과 같다.[20]종류 | 나이 | 카드 () | 현금 () | 종류 | 나이 | 카드 () | 현금 () |
---|---|---|---|---|---|---|---|
급행 (좌석형) | 성인 (만 19세 이상) | 1950KRW | 2200KRW | 순환 간선 지선 (도시형) | 성인 (만 19세 이상) | 1500KRW | 1700KRW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1100KRW | 1300KRW | 청소년 (만 13세 ~ 18세) | 850KRW | 1000KRW | ||
어린이 (만 7세 ~ 12세) | 650KRW | 800KRW | 어린이 (만 7세 ~ 12세) | 400KRW | 500KRW |
만 7세 미만의 아이는 1명까지 무료로 승차할 수 있으며, 1명을 초과할 시에는 각 1명마다 어린이 요금을 내야 한다. 청소년·어린이 요금은 초등학생·중학생과 같은 신분이 아닌, 나이로 적용된다. 교통 카드를 이용하면 운임을 할인받을 수 있으며,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
5.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
대구광역시 시내버스는 경산시 소속 시내버스와 함께 버스 운행 정보 시스템이 구축되어 있다. 이 시스템으로 차량의 위치와 각 정류장별 버스 도착 안내를 WINC(8003), 단축형 WINC(8003#xxxxx), 모바일페이지 및 인터넷으로 제공한다. 또한, 각 차량별로 앞 차량이 지나간 시간을 바탕으로 주요 경유지까지 걸리는 시간을 예측하여 차량 내부의 LED 전광판에, 도착 소요 예정 시간을 정류소의 도착 안내기에 고지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 전·측·후면 외부에 LED 행선판을 장착하여 운행하고 있다. 공동 배차를 하는 경산시 소속 시내버스도 공동으로 구축한 시스템을 통하여 위치 정보 조회가 가능하다.
6. 버스전용차로
대구광역시는 버스전용차로제를 시행하여 대중교통 이용을 활성화하고 있다. 동대구역 건너편에는 대구광역시 최초의 중앙버스전용차로가 설치되어 있다.
2009년 12월 1일부터 반월당네거리에서 대구역네거리 구간(1.05km)은 국내 최초의 '대중교통 전용지구'로 지정되었다. 이 구간은 시내버스, 지정차량(물류업체 등), 긴급자동차만 통행할 수 있으며, 일반 차량의 통행은 불가능하다.